2025. 3. 28. 11:00ㆍ카테고리 없음
횡령 혐의로 수사를 받는 중이라면 '기소유예'라는 단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는 검찰이 범죄 혐의는 인정되지만 일정한 사정이 있는 경우 공소를 제기하지 않는 처분을 의미합니다. 즉, 전과를 남기지 않고 사건을 마무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결정이기 때문에, 실제 조건과 전략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횡령죄에서 기소유예 처분을 받기 위한 요건과 대응 전략을 상세히 설명드립니다.
① 기소유예란 무엇인가요?
기소유예는 형사소송법 제247조에 따라 검사가 범죄 혐의는 인정하되 여러 사정을 고려해 공소를 제기하지 않는 처분을 말합니다. 불기소 처분의 일종이며, 형식적으로는 '혐의 있음'이나 사실상 처벌을 면하는 결과를 낳습니다. 기소유예는 피의자에게 전과가 남지 않기 때문에, 특히 초범이나 경미한 범죄에서는 중요한 선택지로 작용합니다. 다만, 단순히 선처를 기대하기보다는 관련 기준에 부합하는지, 법률적 요건을 충족하는지에 대한 정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② 횡령죄에서 기소유예가 가능한 사례
횡령은 형법 제355조에서 규정한 재산범죄로, 고의가 인정되면 형사처벌이 불가피합니다. 그러나 모든 횡령 사건이 기소로 이어지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기소유예 처분이 내려진 사례가 있습니다:
- 소액 횡령으로 피해 금액이 매우 적은 경우
- 피의자가 초범이며 자발적으로 전액 변제한 경우
-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거나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
- 회사 내부의 회계 관행상 오해에서 비롯된 경우
- 단순한 실수로 인해 발생했음을 입증한 경우
이처럼 피해 회복과 반성, 정황상 과실 또는 오인 가능성이 있는 사건은 기소유예로 종결될 수 있습니다. 다만, 피의자의 태도나 피해자의 의사에 따라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에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③ 검찰이 기소유예를 판단하는 기준
기소유예는 검사 재량에 따라 결정되므로,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종합적으로 고려됩니다:
- 피해 회복 여부 (전액 변제 또는 합의)
- 범행의 동기 및 수법 (계획적 범죄인지, 우발적 실수인지)
- 전과 유무 (초범 여부)
- 피의자의 태도 (반성문 제출, 사과 의사 등)
- 사회적 파장 및 직장 내 지위, 향후 재범 가능성 등
또한 피의자의 사회적 배경, 직업, 범행 당시의 상황 등 정황적 요소도 고려 대상입니다. 검찰은 법적 요소와 함께 인도적 판단을 병행하기 때문에, 단순한 법조문만으로 판단하기보다는 사안에 맞는 해석과 정리된 자료가 필요합니다.
④ 기소유예를 받기 위한 실질적 조건
기소유예를 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진정성 있는 피해 회복 노력'과 '재범 가능성이 낮다는 점'을 입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다음과 같은 실무적 준비가 필요합니다:
- 피해자와의 합의서 또는 피해금 전액 입금 내역
- 반성문 작성 및 제출 (진정성, 자필)
- 가족, 동료의 탄원서 (신뢰도 높은 제3자의 의견)
- 과거 유사 범죄 이력 없음 확인서
- 심리치료, 교육 수강 등 자기 개선 노력 증빙
또한 조사 과정에서 진술이 일관되며, 반성의 태도가 분명히 드러나는 경우 기소유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때 변호사와 함께 전략적으로 대응하면 훨씬 설득력 있게 의견서를 제출할 수 있으며, 검찰 입장에서도 수긍할 수 있는 근거가 됩니다.
⑤ 벨리프 법률사무소의 실무 조언 및 성공 사례
벨리프 법률사무소는 횡령죄 관련 기소유예 사례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접근 전략을 통해 성공적인 결과를 도출해왔습니다:
- 수사 초기부터 기소유예 가능성 진단
- 진술서 및 의견서 작성 대행 (논리적 구성)
- 피해자와의 원만한 합의 조율 및 입증자료 확보
- 반성문, 탄원서 등 기초자료 구성 지원
- 검찰 출석 전 모의진술 및 조서 대비 교육
실제로 회계 부서 실무자가 실수로 회사 자금을 잘못 이체한 사건에서, 변호인 조력을 통해 전액 변제 및 반성문 제출을 거쳐 기소유예를 이끌어낸 사례도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내부 규정이 명확하지 않아 회계 처리 기준이 불명확했던 점을 강조했고, 피의자가 스스로 잘못을 인식하고 신속하게 조치한 사실을 변호인이 정리해 설득력 있는 의견서를 제출한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결론:
횡령죄는 혐의가 인정되면 형사처벌로 이어질 수 있으나, 사건의 경중과 피해 회복 여부에 따라 기소유예라는 실질적인 해결책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기소유예는 단순한 선처가 아니라, 철저한 준비와 전략이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결과입니다.
초범임을 강조하기 위한 신상자료 준비, 진정성 있는 피해 회복 증빙, 검찰에 제출할 의견서 구성 등은 혼자 준비하기 어렵고 실수가 잦은 영역입니다. 벨리프 법률사무소는 초기 수사 대응부터 합의 조율, 의견서 제출까지 전 과정에서 의뢰인을 실질적으로 지원합니다.
기소유예를 희망하신다면, 지금 바로 상담을 통해 사건의 방향을 잡아보시기 바랍니다.
- 상담문의 : 02-6482-3392
- 주소 : 서울 강남구 도곡동 411, 빌딩숨 4층 벨리프법률사무소
- 책임변호사 : 최명수
- 본 콘텐츠는 ‘변호사 광고에 관한 규정’을 준수합니다.



















